코로나에 대응할 여력이 없는 북한은 빗장을 단단히 걸어 잠그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주민들에게는 철저한 방역만이 살 길이라고 강조합니다. <br /> <br />[조선중앙TV / 지난 7월 : 어느 한 사람이라도 순간이나마 각성을 늦추고 마음의 방비를 푼다면 지금까지 다지고 다져온 방역장벽이 불시에 무너질 수 있다는 것을 다시 한 번 심장 깊이 쪼아박아야 합니다.] <br /> <br />이런 가운데 국제 백신 공급 프로젝트인 코백스의 추가 배정으로, 북한에 제공될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이 800만 회분을 넘겼습니다. <br /> <br />인구의 16%가 접종할 수 있는 양이지만 북한은 아직 수령하지 않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코백스가 원하지 않는 국가는 배분하지 않겠다고 했는데도 이번에 추가 배정이 된 걸 보면 북한이 백신 수용 의사는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이에 따라 북한이 실제로 백신을 수용할지에 관심이 모아지는데, 정작 북한은 아스트라제네카보다 미국산 백신을 더 원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 <br /> <br />이 때문에 북한이 원하는 화이자나 모더나 백신을 제공해 북한을 대화의 장으로 나오게 하자는 주장이 박지원 국정원장과 전문가들에게서 제기됐습니다. <br /> <br />[고유환 / 통일연구원장 : 화이자나 모더나 같은 나름대로 검증되고 북한이 신뢰하는 것을 미국이나 한국이 공동으로 (제공)하거나 코백스를 통해서….] <br /> <br />이와 관련해 우리 정부의 고위 당국자는 북한 주민이 모두 접종할 수 있는 '6천만 회분' 제공 논의가 실제 물밑에서 조금씩 논의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. <br /> <br />미국 측이 국제사회의 인도적 지원 노력을 수용할 것을 북한에 촉구했고, 북한 관계자는 이런 지원 방안에 대해 미국 측과의 사전 조율 여부를 타진해 왔다는 것입니다. <br /> <br />실제로 북한과 유엔 관계자가 만났을 때는 북측이 '6천만 회분' 제안에 대해 백신이 화이자인지 모더나인지를 묻기까지 했다고 고위 당국자는 전했습니다. <br /> <br />아직 공식적인 협의 단계라기보다는 실무자 차원의 의사 타진 단계로 읽히지만, 2월 베이징올림픽을 앞두고 '백신'을 매개로 한 대화 논의가 급물살을 탈지 주목됩니다. <br /> <br />YTN 조승호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34_202112270837074854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